기사 메일전송
민선8기, 박완수 도정 ‘G-RESTART, 제조산업 혁신 시즌2’ 박차 - 소형모듈원자료(SMR),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첨단산업육성으로 대한민국 … - 3대 목표, 산업 생태계 확장 등 4대 전략, 34개 추진 과제 제시
  • 기사등록 2023-01-04 23:07:18
기사수정


▲ 민선8기, 박완수 도정 ‘G-RESTART, 제조산업 혁신 시즌2’ 박차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4민선 8기 산업육성 방향과 분야별 육성대책을 담은 ‘G-RESTART, 제조산업 혁신 시즌2(이하 제조혁신 시즌2)를 발표하였다.

 

경남은 3대 산업지구를 중심으로 1970년대 제조업 르네상스를 견인하였고조선 경기 호황기였던 2000년 초반에는 불이 꺼지지 않는 지역이라고 인식될 만큼 국가 경제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온 역동적인 지자체였다.

 

하지만 2010년 이후 실물경제부분에서는 제조업 총생산액 하락매출액 상위 500(전국기업 경남비중 감소 등 창원국가산단의 영세화와 조선업 부진이 있었고비실물경제부분에서는 ICT융복합 등 미래산업기반역량지수 하락연구개발(R&D) 투자미약 등의 영향으로 경남의 제조산업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최근 방산ㆍ원전ㆍ조선산업 분야의 대규모 수주 발생원전산업의 새 정부 집중육성과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 대형 국책사업 추진으로 경남 제조업 재도약의 좋은 기회가 다가오고 있다.

 

제조혁신 시즌2는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현시점에서 침체된 제조산업의 부흥을 위한 4대 전략(▲산업생태계 확장 ▲미래 첨단산업 육성 ▲주력산업 고도화 ▲지속 가능 성장 동력 확보)과 34개의 추진과제를 담고 있다.

 

도는 제조혁신 시즌2를 수립하기 위해 지난해 7월부터 전문가 워킹그룹을 구성하여 산업별 중장기 종합 육성방안 등을 논의해왔다산업연구원한국재료연구원경남연구원 등 관계기관의 자문은 물론 민선8기 출범 이후 산업별 현장간담회 시 논의된 내용과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였으며경남의 제조산업을 재도약 시키기 위한 핵심사업을 담고 있다.

 

[산업생태계 확장]

 

도는 산업부문 균형발전을 위한 산업 생태계 확장에 노력할 계획이다지난해 정부에서 발표한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과 함께 ▲원전ㆍ방산 국가산업단지(특화단지조성 ▲수소특화단지 조성 ▲바이오메디컬 산업 혁신벨트 조성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등 산업생태계 확장을 위해 지역혁신기관과 협업체계 구축정부 건의 및 기획보고서 마련 등 사전 준비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전ㆍ방산 국가산업단지(특화단지조성(23-30, 총사업비 5조 원, 200만평)은 세계 소형모듈원자로(SMR) 시장의 수요 증가와 방산 수출 확대에 따른 시설투자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산업기반시설연구개발시설 등 인프라 조성과 함께 부품 소재 국산화 지원 등의 기능 확대를 목적으로 추진한다.

 

수소 특화단지는 2단계로 진행되며창원김해밀양을 수소 저장용기기술개발 중심지역으로 육성하기 위한 1단계 수소특화단지(23-26, 총사업비 3,000억원)를 조성한 후통영고성진주 지역까지 확대한 2단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미래 첨단산업 육성]

 

소형모듈원자로(SMR), 미래형 항공기체(AAV) 등 신성장 미래 첨단산업 진입을 위한 기술개발 노력으로 미래 먹거리 산업을 육성하고자 한다.

 

원전산업 육성방안으로 미래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거론되고 있는 소형모듈원자로(SMR)의 제조기술개발과 신 시장 진입을 위한 「소형모듈원자로 기술개발 사업」(24-28, 총사업비 4,000억 원)이 정부예타사업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지난해 에너지 중점산업에 원자력(제조분야)이 추가 지정된 에너지산업융복합단 내 연구개발(R&D), 기업지원해외판로개척을 지원할 「원자력산업 종합지원센터」(23-27, 총사업비 160억 원)도 구축할 예정이며「원자력산업 종합지원센터」구축에 필요한 기본설계비 2억 4천만 원은 지난해 국회 단계에서 신규 확보한 바 있다.

 

첨단항공분야 도심항공교통(UAM)은 전 세계적으로 미래 도심항공교통망으로 각광받고 있고 유수 기업체들이 기술개발에 뛰어들고 있으며정부(국토교통부)에서도 2030년 UAM 상용화를 목표로 한 K-UAM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다.

 

도에서는 우주항공클러스터자동차 부품산업고성무인기 종합타운 등 여러 인프라의 이점을 활용하여 ▲「항로개발과 실증인프라 구축」(23-27, 총사업비 1,000억 원) ▲「경남형 미래항공기체 시제기 개발」(23-25, 총사업비 33억 원) 등과 같은 사업을 추진하여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시대를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경남의 제조산업을 밑받침하는 소재산업 육성 방안으로 초고온ㆍ극저온ㆍ특정극한소재 실증을 위한 「극한소재 실증연구기반 조성사업」(23-28, 총사업비 3,096억 원한국재료연구원)을 정상적으로 추진하여 전략소재 국산화에 노력하고 부산전남과 함께 신기능 탄성소재 개발을 위한 국책사업(24-28, 총사업비 2,304억 원예타사업) 추진도 준비해 나갈 것이다.

 

[주력산업 고도화]

 

제조산업에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조산업으로 전환을 촉진하고 국책 연구기관 유치로 연구개발(R&D) 기능 강화에 힘쓸 계획이다.

 

방위산업의 종합적인 육성방안으로 대중소 기업 상생협력 핵심품목 개발을 비롯한 5대 전략 19개 과제(31개 세부과제22-27, 총사업비 1조 8,955억원)를 담고 있는 「경남방위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지난해 마련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제조산업으로 전환 방안으로 올해부터 2027년까지 1,200(기초 720, 고도화 480)의 스마트 공장을 추가로 구축하고 영남권 5개 시도가 힘을 합쳐 자율제조 시스템 실현을 목표로 하는 「인공지능 자율제조 클러스터 조성사업」(24-30, 총사업비 9,500억 원예타사업)을 추진한다.

 

그리고 뿌리산업기계산업중소형 조선산업자동차로봇 산업에도 ICT기술을 융복합하여 디지털 기반의 개발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등 공정혁신에도 힘쓸 계획이다.

 

[지역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전문교육기관과 국책연구기관 유치에 노력]

 

경남은 3만 8천여 개의 제조업체가 기업활동을 하는 전국 3위의 산업규모를 가지고 있는 반면연구기관 수와 연구원 수는 이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청년 유출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 성장잠재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수한 지역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는 경남과학기술기관 설립을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왔고 올해 1월 2일자로 경남과학기술원 설립 TF 전담조직을 신설하였다올해부터는 기본계획 수립부처 협의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며▲방산부품연구원(23년 용역비 2억 원 확보) ▲수소전문연구기관도 유치하여 도내 연구개발 기능 강화에 힘쓸 계획이다.

 

아울러방산부품연구원 설립타당성 조사용역비 2억 원이 지난해 국회 단계에서 신규 반영되었고 올해부터 도내 방위산업을 컨트롤할 정부연구기관이 설치될 수 있도록 부처와 협의하고 전 행정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지속 가능 성장 동력 확보]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양환경 규제 강화(08년 대비 '30년까지 CO2 40% 감축, '50년까지 70% 감축 목표 설정) 등 탄소중립 산업구조로 전환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경남형 지속가능경영(ESG) 플랫폼」을 마련하고친환경 선박 기술인 「암모니아 혼소 연료 추진시스템」(22-26, 총사업비 300억 원)과 같은 저탄소 신기술 개발에 힘써 2050 탄소중립 로드맵 이행과 함께 도내 기업이 지속가능경영을 할 수 있도록 행정지원을 적극적으로 해 나갈 계획이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디지털 트윈소프트웨어 등 인공지능(AI) 기술이 더욱 고도화되고 있는 제조업 패러다임 변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경남 제조혁신을 이룰 수 있다”라고 말하면서 “위기 뒤에 기회가 온다는 말이 있듯이최근의 방산·원전·조선분야 수주 확대 소식은 경남의 미래가 어둡지만은 않을 것이며제조업 부흥을 통해 경남이 또 한 번 대한민국 경제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아울러경남도는 ‘G-RESTART, 제조산업 혁신 시즌2’ 추진(22-31, 11조 3,384억원)으로 15조 1,188억 원의 생산유발효과, 6조 5,544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9만 8,411명의 취업유발효과가 예측된다고 밝혔다.


한국뉴스플러스배영민 기자 b1222mgb@naver.com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knewsplus.com/news/view.php?idx=550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